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성경이야기

제4회. 예언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 신자의 태도와 적용,예언을 대하는 성숙한 태도,하나님은 지금도 말씀하시는가?,미래보다 중요한 오늘의 순종

by 십자가 사랑 2025. 5. 17.

 

"예언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신자의 태도와 적용"

 

1. 예언을 대하는 성숙한 태도

예언에 대한 성경의 가르침은 단순히믿거나 말거나수준의 문제가 아닙니다. 바울은 데살로니가전서 5 20-21절에서 이렇게 권면합니다.

 

“예언을 멸시하지 말고,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을 취하라.”

 

이 말씀은 예언에 대해 무조건적인 수용이나 무시가 아닌, 분별과 수용 사이의 균형 잡힌 태도를 강조합니다. 성도는 예언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거나, 반대로 전부 거짓으로 치부하는 극단을 피해야 합니다.

 

예언은 하나님께서 교회와 성도에게 방향을 제시하시고 경고하시는 도구이지만, 성경이라는 기준 안에서 이해되고 해석되어야 합니다. 진리에서 벗어난 감정적 예언, 또는 공동체와 질서를 무시하는 개인적 계시가 있다면, 그것은 검증과 분별의 대상입니다.

 

예언이 주어질 때, 성도는 겸손한 마음으로 기도하며 성경과 비교하고, 성령의 조명 가운데 공동체 안에서 판단해야 합니다. 예언을 통해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뜻과 뜻하신 길로 나아가는 것이 목적이 되어야 합니다.

 

2. 하나님은 지금도 말씀하시는가?

많은 신자들이 오늘날에도하나님이 나에게 말씀하셨다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실제로 하나님은 다양한 방식으로 우리에게 뜻을 나타내십니다. 성령의 감동, 양심을 통한 깨달음, 설교나 성경 묵상을 통한 조명, 때로는 타인의 권면을 통해 우리를 인도하십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이 하나님의 완전한 말씀인 성경에 일치하지 않는다면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성경은 하나님의 계시가 완성된 기준이기 때문에, 그 어떤 예언도 성경을 대체하거나 추가해서는 안 됩니다.

히브리서 1 1-2절은 이렇게 말합니다.

 

“옛적에 선지자들을 통하여 여러 부분과 여러 모양으로 말씀하신 하나님이, 이 모든 날 마지막에는 아들을 통하여 우리에게 말씀하셨으니…”

 

이제는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완전한 계시가 주어졌고, 우리는 그리스도를 통해 하나님의 뜻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신자들은 하나님의 뜻을 아는 데 있어 말씀을 최우선의 기준으로 삼아야 하며, ‘직통 계시개인 계시라는 명목으로 신앙의 초점을 흐리는 예언이나 주장에 주의해야 합니다.

 

3. 미래보다 중요한 오늘의 순종

예언을 찾는 많은 이들의 마음에는미래에 대한 불안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더 자주, 더 정확한 예언을 듣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성경이 강조하는 핵심은 내일을 아는 것보다 오늘을 어떻게 사느냐입니다.

 

모세는 신명기 29 29절에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감추어진 일은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속하였거니와 나타난 일은 영원히 우리와 우리 자손에게 속하였나니…”

 

하나님은 미래의 모든 세부사항을 다 말씀하지 않으셨습니다. 대신, 오늘 우리에게 명하신 계명과 말씀에 순종하기를 원하십니다.

예언은 하나님의 뜻을 더 분명히 하고 순종을 촉진하는 수단이어야 하며, 단지미래의 정보를 얻기 위한 수단이 되어서는 안 됩니다.

 

마태복음 7장에서 예수님은 마지막 날 “주여, 주여” 하며 예언도 하고 귀신도 쫓아낸 자들에게 **“내가 너를 도무지 알지 못하노라”**라고 하십니다. 이는 능력과 외형보다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는 자가 구원에 이른다는 경고입니다.

 

☆ 맺으며 ☆

예언은 하나님께서 택하신 방식으로 성도에게 뜻을 전달하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그러나 신자는 반드시 말씀 중심, 성령의 인도, 공동체 안의 분별을 통해 예언을 수용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떠난 예언은 아무리 인상 깊고 감동적일지라도 참된 예언이 아닙니다.

 

우리는 예언을 통해 단지 미래를 알기보다, 하나님의 뜻을 알고 오늘을 바르게 사는 지혜를 얻어야 합니다.

그럴 때 성경적 예언은 우리를 미혹이 아닌 생명으로 이끄는 등불이 될 것입니다.

 

 

⊙ 안전한 세상 만들기 블로그 : https://w-safety.tistory.com/ 

⊙ 건강이야기 블로그 :  https://kh-vision100.tistory.com/